초록 |
□ 연구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1. 최근 카지노 쪽박걸 관련 연구는 신장 및 배아 발달에 있어 apoptosis에 관여하며 당뇨 유발 인자인 것으로 확인됨. 2. 암관련 연구에서는 암 세포에서 카지노 쪽박걸이 과발현 되어 있지만, 아직까지, ⓵ 암에 대한 카지노 쪽박걸의 기능, ⓶ 카지노 쪽박걸의 과발현으로 인한 암 발생 및 전이, ⓷암에서의 카지노 쪽박걸의 Apoptosis 억제 기능 ⓸ 암에 있어 카지노 쪽박걸 유전자의 기능 및 암 전이 유발 transcription factor와의 상관관계, 암줄기세포 전환과 Apoptosis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전무한 상태임. 따라서, 본연구진은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를 제안 하고자 함. ▶ 본 연구진은 유방암에서의 암줄기세포 표적 단백질 선별을 위해 기존의 환자의 정상 및 유방암 조직 microarray 분석을 통해 카지노 쪽박걸 유전자가 암 줄기세포에서 과발현 되어 있으며, Apoptosis 조절에 있어 그 기능이 전혀 밝혀져 있지 않은 카지노 쪽박걸 유전자를 선별하였고 예비 결과를 도출 하였음. 본 연구를 기반으로 카지노 쪽박걸을 이용한 Apoptosis 억제 관련 유전자 조절을 통해 암줄기세포 전환 및 전이를 제어함으로써 암세포 치료 효과 및 암에 의한 통증 치료에 사용할 수 치료 기술을 수립하고자 함. ◼ 전체 내용 ◉ 카지노 쪽박걸에 의한 Apoptosis 억제기능으로 신규 분자표지자 / 표적분자 발굴 플랫폼 구축 • 유방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카지노 쪽박걸 과발현 및 knockdown 세포주를 확립 후 발암, 전이 및 암줄기세포 전환 기전과 Apoptosis 조절 기전 수행함. • 카지노 쪽박걸 유전자와 광센서 유전자를 결합시켜 과발현 세포주 및 카지노 쪽박걸 knockdown 세포주를 구축하고, 그 cell을 모델 쥐에 주입한 후 전이된 간 및 폐 조직을 적출하고 그 조직의 RNA 및 단백질을 추출하여, RNA sequencing 기법을 통해 여러 가지 타겟 유전자에서 카지노 쪽박걸 조절 신규 통증 분자표지자 / 표적분자 후보군을 발굴함. ◉ 카지노 쪽박걸에 의한 Apoptosis 억제기능 기반 신규 분자표지자 / 표적분자의 유효성 및 기능성 확인 • 신규 분자표지자 / 표적분자의 기능성 및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유방암 세포주 및 public database에서의 발현 확인하고 세포내 발현 위치를 검증함 • 카지노 쪽박걸에 의한 Apoptosis 억제기능 기반으로 신규 분자표지자 / 표적분자에 의한 전이 및 암줄기세포 전환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과발현 및 knockdown 세포주를 확립 후 기능성 수행함. ◉ 유방암 세포 모델 및 동물모델을 이용한 카지노 쪽박걸 기능 연구 • 본 연구에는 HMLE cell을 이용하여 FACS를 통해 cancer stem cell의 특징을 보이는 CD44<suphigh</sup/CD24<suplow</sup cell과 정상세포의 특징을 보이는 CD44<suplow</sup/CD24<suphigh</sup cell을 분리하여 카지노 쪽박걸 과발현 cell line을 구축하여 카지노 쪽박걸에 의한 암줄기세포 전환과 Apoptosis의 기전 연구를 수행할 예정임. • HMLE cell의 CD44<suphigh</sup/CD24<suplow</sup phenotype을 보이는 cell을 이용하여 카지노 쪽박걸 유전자와 광센서 유전자를 결합시켜 과발현 세포주를 구축한 후 쥐에 주입시켜 폐와 간으로 전이능을 조사할 예정임. ◼ 1단계 ❏ 연구 목표 카지노 쪽박걸와 세포생존 연관성 규명 유방암 전이능 및 세포생존에 있어서 카지노 쪽박걸 기능 규명 Apoptosis에 대한 카지노 쪽박걸 유전자 기전 확립 MT와 Apoptosis에 대한 카지노 쪽박걸 유전자의 기능 규명 카지노 쪽박걸에 의한 암줄기세포 유도 규명 카지노 쪽박걸에 의한 apoptosis 조절을 통해 암줄기세포 유도 규명 ❏ 연구 내용 MCF10A cell을 이용한 카지노 쪽박걸 과발현 세포주 확립 카지노 쪽박걸 발현으로 인한 cell growth, anokis, MTT, colony formation assay, 분석 카지노 쪽박걸 과발현 세포주를 이용 PCR array을 통한 EMT 및 Apoptosis 조절 인자 양상 확인을 통한 카지노 쪽박걸에 의한 apoptosis 유발 인자 조절 기전 도출 인체 유래 normal human mammary epithelial cell (HMLE) cell을 이용한 카지노 쪽박걸과발현 cell 구축 FACS을 통한 HMLE-카지노 쪽박걸 cell에서 apoptosis (annexin V/Pi) 분석 카지노 쪽박걸에 의한 anti-apoptosis 유전자 발현 조절 규명 및 HMLE-카지노 쪽박걸 cell를 이용한 Apoptosis 억제 기전 규명 HMLE-카지노 쪽박걸 cell에서 세포 생존과 연관된 signal pathway 조절 및 EMT 유발에 관여하는 Transcription Factor 및 EMT 전환 규명 카지노 쪽박걸에 의한 Apoptosis 및 EMT 유발 관련 조절 인자간의 연관성 규명 HMLE-카지노 쪽박걸 cell을 이용한 유방암줄기세포 marker인 CD24<supLow</sup/CD44<supHigh</sup 발현 분석 HMLE-카지노 쪽박걸 cell에서 암줄기세포 특성인 암성장, 암 발생 및 전이능 확인 HMLE-카지노 쪽박걸 cell에서 CD24<supLow</sup/CD44<supHigh</sup 발현과 Apoptosis 간의 연관성을 FACS 분석을 통해 규명 확립 HMLE-카지노 쪽박걸 cell에서 apoptosis 조절인자 제어를 통한 전이능 조절 규명 및 암줄기세포 형성 조절 규명 ◼ 2단계 ❏ 연구 목표 카지노 쪽박걸 발현에 의한 암줄기세포 유도와 Apoptosis 연관성 규명 카지노 쪽박걸 유전자에 의해 유도되는 줄기세포 및 Apoptosis에 대한 RNA-seq 분석 카지노 쪽박걸에 의한 apoptosis 억제에 따른 Tumorigenicity와 metastasis 규명 카지노 쪽박걸에 의한 새로운 Apoptosis 조절 및 항암 내성 극복 효과 규명 ❏ 연구 내용 CD24<supLow</sup/CD44<supHigh</sup 발현 세포주에 카지노 쪽박걸 knockdown 세포주 확립 카지노 쪽박걸 knockdown cell에서 cell growth, anokis, colony formation assay 통한 apoptosis 규명 카지노 쪽박걸 knockdown cell에서 apopotois와 암줄기세포와의 연관성 규명 RNA sequence 이용하여 카지노 쪽박걸 유전자에 의한 조절 인자 분석 Bioinfomatic analysis를 통하여 카지노 쪽박걸에 의해 유도되는 조절 유전자간의 기능 네트워크 모델 확립 카지노 쪽박걸에 의해 유도되는 새로운 암줄기세포 전환 및 Apoptosis 유전자 조절 인자 확보 카지노 쪽박걸 knockdown cell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암 발생 및 전이 규명 mice survival 및 tumor histology에 있어 카지노 쪽박걸 역할 분석 동물실험으로부터 회수된 폐를 이용한 Apoptosis-TFs 및 EMT-TFs 조절 분석 카지노 쪽박걸 knockdown cell에서 새로운 암줄기세포 marker 조절 규명 카지노 쪽박걸 knockdown cell을 이용한 새로운 Apoptosis 조절인자 제어 기전 규명 ABC transporter 유전자 (세포밖으로 항암제의 배출을 조절하는 인자)의 발현 규명 및 항암제에 의한 저항성 규명 □ 연구성과 본 연구진은 유방암에서의 암줄기세포 표적 단백질 선별을 위해 기존의 환자의 정상 및 유방암 조직 microarray 분석을 통해 카지노 쪽박걸 유전자가 암 줄기세포에서 과발현 되어 있으며, Apoptosis 조절에 있어 그 기능이 전혀 밝혀져 있지 않은 카지노 쪽박걸 유전자를 선별하였고 연구를 기반으로 카지노 쪽박걸을 이용한 Apoptosis 억제 관련 유전자 조절을 통해 암줄기세포 전환 및 전이를 제어함으로써 암세포 치료 효과 및 암에 의한 통증 치료에 사용할 수 치료 기술을 수립하고자 함. 카지노 쪽박걸에 의해 유도되는 EMT 및 Apoptosis 및 전이연구를 통해 카지노 쪽박걸에 의해 조절되는 새로운 조절 유전자들을 확보를 통해 해당 분야에 대한 차후 연구 및 이해의 폭을 확대시킬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