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지니 카지노보고서 기본정보

2020년도 국가과학지니 카지노표준분류체계의 개선 및 활용기반 구축

지니 카지노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지니 카지노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지니 카지노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12-01
과제시작년도

지니 카지노보고서 개요

주관지니 카지노기관, 지니 카지노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지니 카지노기관 한국과학지니 카지노기획평가원
지니 카지노책임자 이상남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III. 주요 연구결과 1. 개정수요조사(소분류) ■ 과학기술의 발전과 국내·외 과학기술분류체계 동향을 표준분류체계에 반영하기 위해 개정수요조사를 실시 ● ‘연구분야 소분류’에 대한 개정수요제안서를 2개월(’20. 4.1〜5.29)동안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 * K2base(www.k2base.re.kr) 표준분류 개정수요접수 게시판 ■ 총 39건의 개정수요를 7개 기관에서 제출 ● 개정수요제출 기관은 대한기계학회, 대한수학회, 한국물리학회, 대한지질학회, 한국원자력학회,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식품의약품안전처 ● 개정유형별 개정수요 내용은 신설 24개, 명칭변경 7개, 통합 3개, 분할 2개, 통합 후 재분할 2개, 이동 1개 ※ 대분류별로는 기계 10개, 물리 7개, 보건의료 7개, 전기/전자 6개, 수학 5개, 원자력 3개. 지구과학 1개 2. 개정타당성 평가대상 선정(소분류) ■ 총 230개 개정수요에 대해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여 169개 개정타당성 평가대상 선정 ● 평가대상 총 230개는 소분류 개정수요조사(’20년) 시 제출된 39개 외에 중분류 개정수요 조사·발굴·검토('18~'19년) 시 하위 구성 소분류로 제안된 190개*를 포함 * 중분류 개정 시 일괄적으로 개정해야 하는 ‘달리 분류되지 않는 〇〇' 형태의 개정수요(36개), 소분류 재구성에 따른 개정수요(154개) ● 평가대상 230개는 분과별로 자연 분과 32개, 생명 분과 54개, 인공물1 분과 40개, 인공물2 분과 57개, 인공물3 분과 47개에 해당 ※ 유사한 대분류를 대상으로 총 5개 분과(자연, 생명, 인공물1~3)룰 구성하여 평가 ● 개정타당성 평가대상에 선정된 169개는 분과별로 자연 분과 29개, 생명 분과 48개, 인공물1 분과 22개, 인공물2 분과 37개, 인공물3 분과 33개에 해당 - 개정타당성 평가대상에 선정된 169개는 개정유형 기준으로 신설 63개, 삭제 5개, 명칭변경 62개, 이동 12개, 통합 16개, 분할 6개, 통합후재분할 5개에 해당 3. 국가 융합연구 동향 분석 가. 총괄 분석 ■ 전체 현황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융합연구(다학제 과제)는 2015년 대비 2019년 과제수는 8,168개에서 27,148개, 투자액은 2조 2,868억 원에서 6조 208억 원으로 증가 ■ 연구개발단계별 현황 ● 기초연구를 중심으로 융합연구가 활발히 수행되며 관련 기초연구 과제수는 2015년 5,296개에서 2019년 18,751개, 투자액은 8,043억 원에서 2조 6,516억 원으로 증가 ■ 연구수행주체별 현황 ● 대학이 국가연구개발사업 융합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으며, 2019년 대학은 과제수 기준으로 20,4기개, 투자액 기준으로 2조 5,369억 원의 융합연구를 수행 ■ 부처별 현황 ● 지니 카지노가 융합연구를 가장 많이 수행하며 2019년 과학기술정보 통신부의 융합연구 과제수는 13,511개, 투자액은 3조 3,169억 원 ■ 기술분야별 현황 ● 6T 중 융합연구는 BT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며 2019년 BT 분는 과제수가 12,314개(45.4%), 투자액 1조 8,232억 원(30.3%)으로 가장 높은 수준 ● 과학기술표준분류(연구분야) 중 융합연구는 보건의료(8,248억 원(13.7%)), 정보통신(7,265억 원(11.5%)) 대분류에서 활발 ● 과학기술표준분류(적용분야) 중 융합연구는 공공분야에서 건강 분야, 산업분야 에서 농업, 임업 및 어업 분야가 가장 활발 ■ 협력유형별 현황 ● 융합연구는 산·학, 학·연 협력유형에서 가장 활발하며 2019년 산·학 협력유형의 융합연구 과제수는 751개(25.3%), 투자액은 3,579억 원(17.5%)을 차지 나. 중점과학기술, 적용분야 기준 융합연구 네트워크 분석 ■ 중점과학기술 기준으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융합연구가 상대적으로 활발한 분야는 농림수산·식품이고 저조한 분야는 국방으로 나타남 ● 농림수산·식품 중점과학기술은 생명과학, 보건의료 등 전반적인 과학기술분류에서 융합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생명·보건의료 중점과학기술은 생명과학, 보건 의료 과학기술분류를 중심으로 융합연구 수행 ● 중점과학기술 11개 대분류별 주 기술분야에 상§하는 과학기술분류가 융합연구의 매개체 역할 수행 ※ (중점과학기술대분류/매개체 과학기술분류) 환경·기상/환경, 우주항공해양/기계, 기계제조/기계 ● 농림수산·식품 중점과학기술은 네트워크간 최단거리가 가장 짧아 네트워크의 다중화(redundancy) 가 많고 융합구조가 안정적인 반면, 기계·제조, 국방은 최단거리가 길어 특정 과학기술분류에 대한 의존성이 높음을 시사 ● 네트워크 근접중심성은 농림수산·식품 중점과학기술이 가장 높아 과학기술 분류간 가장 밀접하게 융합연구를 수행함을 시사, 반면 국방은 가장 낮아 상대적으로 과학기술분류간 연구를 독립적으로 수행함을 시사 ■ 중점과학기술 전체와 비중점과학기술간 융합연구 네트워크를 비교하면 중점 과학기술은 융합의 강도가 높고 비중점과학기술은 융합연구 형태가 다양 ● 중점과학기술의 과학기술분류간 연결이 비중점과학기술 보다 많아 더 높은 융합연구 강도를 보임 ● 그러나 비중점과학기술의 하위 커뮤니티(4개)가 중점과학기술의 하위 커뮤니티 (3개) 보다 많아 융합연구 형태가 더 다양함을 보여줌 ● 중점과학기술과 비중점과학기술간 근접중심성은 큰 차이가 없어 평균적인 융합거리는 유사 ● 중점과학기술 네트워크에서 높은 영향력을 가진 과학기술분류는 보건의료와 생명 과학이며 이 두 분류는 뇌과학, 농림수산식품 분류와 커뮤니티를 형성 ● 비중점과학기술 네트워크 또한 생명과학, 보건의료 과학기술분류가 융합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중점과학기술과 비교하면 보다 다양한 분류가 융합연구의 매개 역할을 수행 ■ 적용분야 기준으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산업/공공분야(기타제외)가 기타 보다 융합연구가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산업/공공분야(기타제외)의 근접중심성, 네트워크 지수 정도가 높아 기타 보다 더 밀접하고 활발하게 융합연구를 수행 ● 산업/공공분야(기타제외)는 과학기술분류 중 상대적으로 생명과학, 보건의료 분류를 중심으로 융합연구 수행 ● 산업/공공분야(기타제외)의 네트워크간 최단거리가 기타보다 짧아 네트워크의 다중화 (redundancy) 정도가 상대적으로 많고 융합구조가 안정적임을 시사 4. 임시분류 근거 및 영향 모니터링 가. 근거 모니터링 ■ 16개 개정후보중분류관련 과제수는 1,921개로 전체 과제(30,467개)의 6.3%, 정부연구비는 5,547억 원으로 전체 연구비 (4조937억 원)의 13.6%에 해당 ● 과제수 기준으로는 ‘유전학·유전체학’이 423개로 개정후보중분류의 22%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동물자원공학’(252개, 13.1%), ‘인공지능시스템’(206개, 10.7%)이 그 다음 순 ● 정부연구비 기준으로는 ‘우주시스템’이 3,178억 원으로 개정후보중분류의 57.3%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유전학·유전체학’(460억 원, 8.3%), ‘동물 자원공학’(287억 원, 5.2%), ‘복합재료’(260억 원, 4.7%)가 그 다음 순 ● 개정후보중분류가 속한 대분류의 중분류 평균과 비교하였을 때 과제수 및 정부연구비가 모두 평균 이상(평균대비 비율 1이상)인 개정후보중분류는 총 7개*로 개정후보중분류의 약 44%에 해당 * 유전학·유전체학 동물자원공학 우주시스템, 복합재료 인공지능시스템, 정보통신 융합 서비스, 에너지 저장기술 2. 영향 모니터링 ■ 16개 개정후보중분류를 기재한 과제 현황인 영향범위는 과제수 기준 2,661개로 전체 과제(30,461 개)의 8.7%, 정부연구비 기준 6,417억 원으로 전체 정부연구비 (4조937억 원)의 15.7%에 해당 ● 총 33개 대분류 중 영향범위에 있는 대분류는 30개이며 과제수 기준으로는 ‘농림수산식품’(619개), ‘생명과학’(491 개), ‘정보/통신’(414개) 등의 규모가 크고 정부연구비 기준으로는 ‘기계’(3,264억 원). ‘농림수산식품’(670억 원), ‘정보/통신’(601 억 원) 등의 규모가 큼 ● 대분류 전체 과제 수 대비 개정후보중분류를 기재한 과제 수 비중은 ‘정보/통신’ (21.6%), ‘생명과학’(13.7%), ‘화학’(13%) 대분류 등이 높았음 ● 대분류 전체 정부연구비 대비 개정후보중분류를 기재한 연구비 비중은 ‘기계’ (61.7%), ‘정보/통신’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10000919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지니 카지노표준분, ICT 지니 카지노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지니 카지노표준분류
ICT 지니 카지노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