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요 ⚫ 씨스트선충과 (Heteroderidae)에 속하는 사탕무씨스트선충 (Heterodera schachtii)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 유럽, 아프리카, 북남미 대륙 등 전 세계적인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전 세계 개체군 집단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계통생물지리학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년차별로 계획된 연구 목표에 따라 전 세계 지역집단들을 대상으로 집단유전학에 기반한 계통생물 지리학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전 세계 대륙별/ 국가별 집단의 유전적 구조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통하여 개체군 집단 사이의 유전적 흐름의 특성 및 집단의 유전적 분화 등, 개체군의 진화적 역사를 분자 계통학적 관점에서 규명한다. ⚫ 사탕무씨스트선충과 H. filipjevi의 미토콘드리아 12개 protein-coding 유전자(atp6, cob, cox1-3, nad1-6, nad4l)들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이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씨스트선충속 종들 사이의 계통유연관계를 재조명한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년도] ⚫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로부터 국내 집단과 유전적으로 가장 근연인 네덜란드, 독일 국가내 다양한 지역 (6개 지역)으로부터 사탕무씨스트선충 시료를 확보하여, 형태 동정 및 mtDNA cox2 유전자의 염기서열 정보 분석을 통하여 종 분류. ⚫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확보된 시료에 대한 유전적 구조 데이터 확보(15개 마커, 지역당 10개체, 총 900개 gen e scan 결과 확보). ⚫ 선행연구 및 1차년도에 확보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집단유전학적 분석 수행. [2차년도] ⚫ 이전의 연구로부터 독립적인 유전자형 계열이 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된 집단 (모로코, 스페인, 우크라이나, 폴란드, 프랑스)의 시료 확보. ⚫ microsatellite 마커를 활용하여 확보된 시료에 대한 유전적 구조 데이터 확보(15개 마커, 지역당 10개체, 총 750개 gen e scan 결과 확보). ⚫ 선행연구와 1, 2차년도에 확보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집단유전학적 분석 수행. ⚫ 집단유전학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 세계 분포하는 사탕무씨스트선충 개체군의 유전적 특성, 이주 경로를 포함한 비교계통생물 지리학적 연구 수행(유전적 다양성 및 변이율, 유전자 흐름양상 파악). ⚫ 사탕무씨스트선충과 H. filipjevi의 미토콘드리아 12개 protein-coding 유전자 염기서열 확보 및 계통분석 수행.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는 특정 지역, 나라, 대륙을 넘어 전 지구적 범위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계통생물지리학 연구이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연구 결과는 사탕무씨스트선충은물론 다양한 분류군을 대상으로 계통 생물지리학 및 집단유전학, 진화생태학등 다양한 분야에 중요한 기초자료 및 모델 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다. ⚫ 선형동물은 해당 분류군이 가지고 있는 형태 분류의 어려움으로 인해 해당 생물의 종속지적 정보는 물론 개체군의 특성에 관련한 정보가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수행을 통하여 분자계통 생물지리학 정보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선형동물 분자계통학 및 집단유전학에 기반한 개체군 이동에 관련된 연구 분야에 중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 할 수 있다. ⚫ 농업경제에 피해를 입히는 사탕무씨스트선충 개체군의 이주양태 및 계통지리학적 특성의 규명은 해당 해충의 검역에 핵심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선충 감염에 의한 피해지역 확산 방지 및 효과적인 방제를 가능하게 하는 기초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 선형동물 씨스트선충에 대한 계통 진화적 유연관계를 새롭게 재조명함으로써 생물 다양성 및 동물 계통분류학 분야의 최신의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교육에 활용한다. ⚫ 주요 선형동물 분류군의 진화적 유연관계를 재조명함으로써 이와 연관된 기능유전체 분석의 핵심인 계통유전체 정보로서 활용 할 수 있다. ⚫ 선형동물 미토콘드리아 게놈의 분자진화양상을 파악하는데 핵심정보를 제공한다. (출처 : 요 약 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