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카지노 사이트 기본정보

뇌신경망 구조, 기능 및 인지카지노 사이트

연구카지노 사이트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카지노 사이트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카지노 사이트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카지노 사이트 개요

주관카지노 사이트기관, 카지노 사이트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카지노 사이트기관 한국뇌카지노 사이트원
카지노 사이트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감각정보 처리의 이해를 위한 연합피질 신경망의 구조-기능 연구 □ 사업 배경 및 사업 목표 - 제5층피라미드뉴런의 distal dendrite는 electrotonic disadvantage에도 불구하고 POm, vM1등으로부터 많은 input을 받고 있음 - 이들 input은 dendritic filtering에 의한 전기적 불이익을 극복하기 위한 해부학적 분포를 가질 것으로 추측되어 왔으나, 이들 시냅스의 분포 및 생리학적 상호작용에 관해 알려진 바가 없음 - 본연구에서는 array tomography(AT)기법과 이광자 칼슘이미징을 통해 시냅스의 분포 및 상호작용에 관해 연구하였음 - 이를 통해 distal dendrite로 전달되는 감각-운동 정보의 융합에 관해 이해하고자 함 □ 연구 결과 ◦ POm시냅스와 vM1시냅스의 분포 - POm시냅스와 vM1시냅스는 강한 군집화를 보였을 뿐 아니라, POm의 시냅스 군집과 vM1시냅스군집이 함께 존재함을 밝힘. 이는 vM1의 시냅스군집과 POm시냅스 군집간의 상호작용이 생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을 의미함 ◦ POm시냅스와 vM1시냅스의 상호작용 - vM1 자극에 의한 수상돌기 스파이크와 POm자극에 의한 수상돌기 스파이크가 상호 억제적 관계에 있으며, 이는 억제성 뉴런을 통한 상호억제에 의한 것으로 밝혀짐 - distal dendrite수준의 feedforward inhibition 및 상호억제적 경쟁관계는 기존에 알려진 바가 없음 (출처 : 요약서 2p) ○ 판단행동 중 대뇌 피질 뉴런들의 집단 활동 모사 기반 구축 □ 사업 배경 및 사업 목표 2020년 : 계산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들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현상을 따라갈 수 있는 개별 뉴런의 수학적인 모사를 마련한다. 주요 대뇌 피질 영역의 판단행동 및 단기 기억 유지에 관련된 활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앞서 준비한 뉴런 모델을 확장한 네트워크 활동 모델을 구현하고 가설 검증 기반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 연구 결과 2020년 : ○ 판단 행동에 관여된 대뇌 피질 영역의 뉴런 활성 데이터 수집 -원내 연구자의 전기생리 실험을 통해 PPC와 ACC영역의 전기생리학적 자료 확보 ○ 대뇌 피질 영역의 전기생리 데이터에서 수학적 모델의 파라미터 설정 -125개 뉴런의 랜덤 네트워크 모델에서 EPSC와 IPSC의 크기 및 비율 탐색 연구 -1000개 뉴런 네트워크 및 이상의 크기로 확장 진행 중 ○ 네트워크 활동 모사를 위한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개발 -Adaptive exponential integrate and fire모델을 통한 뉴런 발화 모델링 소프트웨어의 개발 진행 중 -저가이면서 고성능의 계산 모듈을 사용해 낮은 가격에 전산모사 환경구축 완료 (출처 : 요약서 45p) ○ 인지기능을 조절하는 핵심적 신경-교세포 상호작용 발굴 □ 사업 배경 및 사업 목표 ◦ 정상적 인지기능 유지를 위한 적절한 신경 회로망 형성 및 가소성 조절이 필수적이며, 신경회로망 가소성 조절에 신경-성상교세포 상호작용은 핵심적 역할을 수행 - 신경활성도에 반응하여 성상교세포에서 물질을 분비하거나 시냅스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신경회로망의 기능적/구조적 가소성 조절함이 알려져 있으나, 성상교세포에 흡수/재분비 되어 신경회로망 가소성을 조절하는 분자 매개체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 ◦ 본 연구과제는 인지기능을 조절하는 신경-교세포 상호작용 의존적 시냅스 가소성 핵심 메커니즘을 발견하고자 아래의 주요목표를 설정함: - 신경세포/성상교세포 특이적 신호체계 조절 가능 기법 확립 및 신경-성상교세포 상호작용 매개체 후보 분자 스크리닝 (2018년) -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신경-성상교세포 상호작용 신호체계 규명 (2019년) - BDNF 매개 신경-교세포 상호작용 모델을 활용한 단백질 매개 세포간 소통 기전 연구 및 신경혈관단위체 세포간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단백질 발굴 기법 확립 (2020년) □ 연구 결과 ◦ 신경-성상교세포 상호작용에 의한 시냅스 제거 현상의 시냅스 기능 조절 기전 발굴 (2018~2019) - 성상교세포의 대식작용에 의한 시냅스 구조 제거 기전의 주요 타겟 및 시냅스 가소성 조절 기전 발견 ◦ 신경-성상교세포 상호작용 매개체로서의 volume-regulate anion channel (VRAC)과 Ca2+-activatedanion channel (CAAC)간의 공동작용 기전 발굴 - 신경세포 활성에 반응하여 성상교세포에서 시냅스전달 활성도 조절 물질 분비를 직접 조절하는 CAAC 및 VRAC 이온채널 관련 기전 발굴 ◦ 신경-성상교세포 상호작용 매개체로서의 BDNF의 성상교세포내 흡수 및 이동 신규 기전 발굴 (2018~2020) - BDNF의 이동 관찰이 가능한 QD-BDNF sensor를 활용, 성상교세포 내에서의 새로운 이동 및 분비 기전으로서 VAMP3 발견 ◦ Biotin ligase를 활용한 세포타입 특이적 분비 단백질 동정이 가능한 형질전환생쥐 제작 완료 (2019~2020년) - TurboID를 활용한 세포타입 선택적 분비 단백질의 바이오틴화가 가능한 형질전환마우스 제작 - 세포특이적으로 분비단백질들을 선택적 바이오틴화 가능 (출처 : 요약서 54p) ○ 신경시스템 세포막단백질의 구조-기능 상관관계 및 생리학적 기능연구 □ 사업 배경 및 사업 목표 ◦ 본 연구는 신경계 세포막투과단백질(MLC 질환의 발병요인인 MLC1, CLC-채널 단백질군 및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타겟 세포막단백질 중 하나인 TREM-2)의 분자구조와 작동기전을 세포막생화학·생물물리학 접근방법, 구조생물학 및 전기생리학 기법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추진되었음 □ 연구 결과 ◦ 신경세포 활성화 조절자인 CLC 염소이온채널/교환수송체의 주조-기능 연구 - CLC-ec1가 다양한 구조적 변화를 규명하고 새로운 이온 결합부위 동정함으로써 염소이온과 수소이온을 교환 수송의 분자 기전을 밝힘 (‘19년, PNAS 논문출판) - 구조-기능이 규명되지 않은 CLC-ec2의 입체 구조를 규명하고 미규명 작동원리를 규명 ◦ 성상교세포 특이적 세포막 단백질 MLC1의 세포생리학적 특성 규명 - MLC1 단백질 결손 및 과발현에 의한 세포의 형태적 변화 및 운동성 변화의 상관관계 탐구 (‘19년, Mol. Brain 논문출판) - MLC1 단백질의 야생형/병인돌연변이 특이적 인산화 부위 동정과 기전 규명 연구 수행 ◦ 알츠하이머 위험인자 세포막단백질 TREM2의 구조생물학적 연구 - 자체 개발한 단클론 항체 Fab 조각을 이용한 사람 TREM2 전장 단백질 구조규명 시도 - TREM2 단백질 특이적 단클론 항체 유래 항체조각 scFv 제작 및 활용카지노 사이트 개발 (‘20년, 특허등록 2건) (출처 : 요약서 74p) ○ 뇌혈관 구조, 기능 이해를 통한 뇌혈관 손상 회복 및 약물전달 기전 □ 사업 배경 및 사업 목표 ◦ 사업 배경 - 본 연구과제는 뇌기능을 조절하는 주요 조절 인자를 발굴하고 그 역할을 규명함으로서 뇌혈관 및 뇌신경망의 형성과정과 손상 후 재형성 기전을 연구하고자 함. 특히 뇌졸중 및 파킨슨 질환에서 뇌혈관 손상에 초점을 맞추어 예방 및 치료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함. ◦ 연도별 사업 목표 (1차년도) 뇌졸중 모델에서 Sema3E-Plexin-D1 신호전달체계의 활성 검증 및 뇌혈관 손상에 따른 퇴행성 신경질환 변화 검증 (2차년도) Sema3E-Plexin-D1을 통한 (1) 뇌졸중 모델에서 뇌혈관 회복 과정 규명 및 (2) 대뇌 기저핵 신경망 형성 조절인자 발굴. (3) 뇌혈관 손상과 파킨슨병의 상관관계 규명을 위한 신규 마우스 모델개발 (3차년도) Sema3E-Plexin-D1을 통한 (1) 뇌졸중 모델에서 뇌혈관 회복 과정 규명 및 (2) 대뇌기저핵신경망 형성 조절인자의 역할 규명. (3) 신규 파킨슨 동물모델의 병리현상 검증 □ 연구 결과 ◦ 1차년도 (2018년) - 뇌졸중 유발시 축삭유도인자인 Sema3E-Plexin-D1 신호전달과정이 재활성 됨을 확인하고, Sema 3E 또는 Plexin-D1 유전자 결손시 뇌손상이 악화됨을 확인함. - 알파-시누클레인 응집체가 선택적으로 일부 단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1000065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카지노 사이트표준분, ICT 카지노 사이트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카지노 사이트표준분류
ICT 카지노 사이트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