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XA9 단백질의 활성 motif 최적화를 통한 폐암 특이적 전이억제제 연구
기관명 | NDSL |
---|---|
공개여부 | |
사업명 | |
과제명(한글) | |
과제명(영어) | |
과제고유번호 | |
카지노사이트유형 | report |
발행국가 | |
언어 | |
발행년월 | 2020-03-01 |
과제시작년도 |
주관연구기관 | 건양대학교 |
---|---|
연구책임자 | |
주관부처 | |
사업관리기관 | |
내용 | |
목차 | |
초록 | □ 연구개요 본 연구는 단백질을 직접 세포 내로 통과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폐암 전이 억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HOXA9 단백질을 본 시스템에 적용하고 세포투과 HOXA9 융합단백질을 재조합 단백질로 만들어 비소세포폐암 억제제로의 가능성 유무를 확인하였고 HOXA9 단백질에서 비소세포폐암의 전이 억제 기능이 있는 활성 motif를 찾아내어 이 motif를 이용한 세포투과 HOXA9 융합 펩타이드를 합성하여 합성 펩타이드에 의한 비소세포폐암의 전이 억제를 확인하였음. 따라서 이 재조합 단백질과 합성 펩타이드가 비소세포폐암 전이 억제제 즉 바이오의약품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폐암 전이 억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HOXA9 단백질에서 약물로의 활성 motif를 최적화하여 폐암 특이적 전이 억제의 기전 및 억제제로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이며 본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음 1) 비소세포폐암에서 세포투과 HOXA9 융합단백질이 세포 내 도입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음 2) 세포투과 HOXA9 융합단백질이 NF-kB 활성을 억제하여 SNAI2발현을 억제하고 CDH1 발현을 증가시켜 폐암의 전이를 억제함을 in vitro에서 확인하였음 3) 세포투과 HOXA9 융합단백질이 폐암 전이유도 동물에서 폐암의 전이를 억제함을 in vivo에서 확인하였음 4) HOXA9 단백질에 의한 전이 억제에 있어 중요한 활성 motif를 찾아냄 5) 세포투과가 가능하며 폐 조직 세포 특이적으로 세포를 투과시키는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활성 motif와 융합한 펩타이드 즉 세포투과 HOAX9 융합 펩타이드를 합성 6) 폐암 특이적 세포투과 HOAX9 융합 펩타이드의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특이적 세포 내 도입 여부를 확인하였음 7) 세포투과 HOAX9 융합 펩타이드에 의해 invasion 감소를 in vitro에서 확인하였음 8) 폐암 전이유도 마우스에서 전이 억제를 확인한 결과 세포투과 HOAX9 융합 펩타이드가 대조군보다 전이가 억제됨을 확인하여 전이 억제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바이오의약품은 세계 의약품 시장에서 향후 5년(`19~`24년)간 연평균 8.5%의 고 성장을 보여 2024년에는 세계 의약품 시장의 3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 본 연구개발에서 비소세포폐암의 전이 억제 가능성을 가진 HOXA9 단백질을 세포 내에 직접 투과할 수 있는 세포투과 HOAX9 융합단백질과 HOAX9 단백질에서 폐암 전이 억제에 중요한 활성 motif를 이용한 세포투과 HOAX9 융합 펩타이드를 만들어 비소 세포폐암의 전이 억제를 확인한 연구결과로 이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 세포투과 HOAX9 융합단백질과 펩타이드는 바이오 의약품으로 개발할 수 있음. 이를 바이오 의약품으로 개발할 경우 폐암 환자의 전이를 억제하여 환자의 생존율과 생존 기간을 연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4708 |
첨부파일 |
과학카지노사이트표준분류 | |
---|---|
ICT 카지노사이트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