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다부처 추진 필요성 가. 극한지 연구에 대한 부처별 역할 상이 □ 기존 연구개발 사업의 역할 구분 및 협력 애로 ㅇ 극지 기초 과학 연구(온라인카지노, 해양수산부), 극지 인프라(해양수산부), 극한지 건설 및 플랜트(국토교통부) 등 극한지 연구 소관부처의 사업 추진 목적과 역할이 상이하여 기존 연구개발 사업으로 협력 연구가 어려움 ㅇ 본 사업이 대상으로 하는 극한지 사물인터넷기반 협동 이동체 및 장비는 수요 영역(극지 및 북극권 미개척 극한지) 및 공급 기술개발 영역(이동통신, 플랫폼 등)에 대한 소관 부처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어 단일 부처 사업으로 사업 목표 달성이 불가능함 나. 극지 연구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 필요 □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극지 연구 다원화에 대한 필요성 지속 제기 - 기존의 극지 연구는 지질 및 생물환경 분석, 남극기지 및 쇄빙선과 같은 인프라 구축에 투자되어 왔으나 이들을 활용한 후속 연구 발굴에 애로 2. 다부처 추진 시너지 효과 □ 본 사업은 다부처 사업의 취지를 분명하게 살려 참여 부처(기관)의 명확한 역할 분담과 기술공급-Test-End User까지의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야만 최종 성과물이 창출될 수 있도록 설계 ㅇ 극한지 사물인터넷 통신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기술 공급) ㅇ 극한지 관측 및 정보처리 : 극지연구소(Test bed, End user) ㅇ 극한지 이동형 플랫폼 : 해양과학기술원, 로봇융합연구원(기술 공급) ㅇ 건설/시추용 플랫폼 탑재체 : 건설기술연구원(End user) 5. 부처 간 역할분담 및 추진체계(안) □ 극한지 협동 이동체 시스템을 활용한 참여 부처의 사업 추진 목표 도출 ㅇ (해양수산부) 극지 상시 관측 및 정보처리 기반 확보로 극지과학 활성화 ㅇ (국토교통부)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한 북방경제영토 확대 지원 ㅇ (산업통상자원부) 극한지 모바일 플랫폼 신뢰성 확보로 플랫폼기술 산업 고도화 ㅇ (온라인카지노) 극한지 사물 인터넷(IoET) 기술 확보로 통신시장 신성장 동력 발굴 6. 부처간 연계방안 □ 정책을 고려한 기술 수요 및 공급 부처의 사업범위와 역할 도출 ㅇ 기술 수요 부처: 해양수산부(극지 활성화), 국토교통부(극한지 지형정보 구축) ㅇ 기술 공급 부처: 산업통상자원부(극한지 이동 로봇), 온라인카지노(IoET 시스템) (출처 : 요약본 3p) |